카테고리 없음

반대하는 결혼 하려면 주변 충고 들으면 안되는 이유 1가지

경제학 용어 중에

'외부 효과'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A와 B간의 거래가

다른 경제주체인 C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효과를 일컫는 말입니다.

 

우리는 경제적 관념에서

조금 더 확장 해봅시다.

 

 

A와 B가 대화를 합니다.

A는 B에게 질문을 하고

A는 B가 질문'만' 고려해서

답할거라 기대합니다.

그리고 B의 대답을 듣습니다.

그럼 A는 B의 대답이

'내 질문'에 대한 정확한 대답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B는 내 대답이 외부에

영향을 끼칠 '외부 효과'에 대해서

의식하게 됩니다.

그래서, 내 입장에 따라

같은 질문이지만

다른 대답을 하게 됩니다.


지인들의 충고가 독이 되는 경우

바로 이 외부효과를 대화장소로 가져왔을 때

심리적 효과를 무시해서는 안됩니다.

우리는 이 효과를 모를 때 일이 벌어집니다.

예를 들어 봅시다.

A는 B에게

 

"부모님이 돈 때문에

반대하는 결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

 

 

라고 물어봅니다.

 

우리는 B가 챗 GPT처럼 대답할거라 기대하지만

실상 B는 외부효과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즉, B는 니네 부모님과 너 싸움에

편들어주기에 휘말리기 싫은겁니다.

잘못 대답했다 어떤 난처한 입장이 될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대부분 질문이랑 상관없이

이렇게 대답합니다.

 

 

"부모님이 그러시는데에는 이유가 있는거야.

너가 이해해야지."

 

 

 

A가 이것을

내 질문에 정확한 대답이라 여긴다면

왜곡된 이해를 하게 됩니다.

외부효과를 모르는 상태죠.

 

 

"내가 이해해야하는거구나.

이게 정당한 거구나!"

 

 

B에게 심리적으로 난처한 입장을 만들어놓고

 

 

대답을 요구하는 것은

정확한 대답을 얻을 수 없고

따라서 큰 의미가 없습니다.

 

결혼문제는 한국인 5000만명에게 물으면 사공이 5000만명이 된다

 

우리 사회는

정말 열심히 남의 인생에 신경써주는 문화입니다.

감사할 수도 있지만

조심해야할게 많은 문화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비판적으로 듣는

귀가 있어야합니다.

https://blog.naver.com/hoya930214/223142263803

 

 

훈련받은 전문가의

정제된 언어와 균형잡힌 관점에서

아이디어를 얻으세요.

전문가들의 최대 경쟁자는 누구일까요?

같은 전문가요?

아닙니다.

바로, 비이성주의를 설파하는

주변의 민간요법 선무당들입니다.

다 사기꾼 들이고, 형(언니)말만 들으면 돼!

 

라고 공짜로 내뱉는 말이

선심인듯 하는 충고가 제일 무섭습니다.

(제가 많이 당했었죠....)

누구를 믿을지

결국 우리의 선택이다 라는

잔인한 현실이 남아있지만

확실한건 우리에게 길이 있다는 것입니다!

여러분 자신을 믿으세요!

꼭 행복한 사랑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https://blog.naver.com/hoya930214/223142263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