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왜 원자재가 인플레 방어자산인가?
2. 원자재란?
3. 원자재 ETF
4. 정리
지난 포스팅에서 인플레이션이란 무엇인지, 인플레이션이 왜 일어나는지, 인플레이션 여부를 볼 수 있는 지표에 대해서 알아봤다면 오늘은 인플레이션에 내 자산가치가 녹아 내리는 것을 방어할 수 있는 인플레 방어 자산, 원자재 ETF를 알아보겠습니다.
화폐가치가 녹아내린다! 인플레이션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 (tistory.com)
화폐가치가 녹아내린다! 인플레이션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
<목차> 1. 인플레이션이란? 2. 인플레이션은 왜 일어날까? 3. 인플레이션 지표 : CPI, 브레이크이븐 금리 4. 정리 최근 인플레이션에 관한 논쟁은 뜨거웠습니다. 경기회복 속도에 비해 예상보다 빠른
ddacapo.tistory.com
1. 원자재가 왜 인플레 방어자산인가?

위 표를 아시나요? 예전에 레이달리오의 올웨더 포트폴리오 글에서 썼던 도표입니다.(아래 링크 걸어두었습니다)
레이달리오의 올웨더(사계절) 포트폴리오로 분산 투자하기 (tistory.com)
레이달리오의 올웨더(사계절) 포트폴리오로 분산 투자하기
<목차> 1. 레이달리오의 올웨더(사계절) 포트폴리오 개념 2. 레이달리오의 올웨더(사계절) 포트폴리오 구성 분석 3. 현재 주식 장세에 적용 4. 정리 1. 레이달리오의 올웨더(사계절) 포트폴리오 개
ddacapo.tistory.com
물가가 상승할 때, 경기가 상승하냐 하락하냐에 따라 유리한 자산이 다른데, 원자재만큼은 공통적으로 있습니다.
그만큼 원자재는 물가상승(인플레이션)에 확실한 방어책이라는 뜻입니다.
2. 원자재란?
: 일단 원자재에 무엇이 있는지부터 봅시다.
1) 에너지 - 원유, 천연가스
2) 금속 - 금, 은, 산업용 금속(구리, 텅스텐 등)
3) 농산물 - 쌀, 밀, 대두, 옥수수, 설탕, 목재
4) 축산물 - 돼지고기, 소고기
원자재는 다른 산업의 가공물이 아니라, 위와 같이 땅이나 동물로부터 채취하여 최초의 가치를 얻은 상품입니다. 이 원자재들은 종류가 다양하고 다양한 산업에서 쓰이기 때문에 어떤 경기 상태냐에 따라서 영향을 미치는게 다릅니다.
에너지 섹터 : 거의 모든 산업에서 쓰이는 원유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락다운이 되어 공장 가동이 멈추면 원유 수요가 줄어듭니다. 또, OPEC과 미국 셰일가스 회사들 사이의 공급합의의 정치적인 영향도 받습니다.
금속 : 산업용 금속은 에너지 섹터와 비슷합니다. 공장 가동률이 올라가면 수요가 올라가고 가격이 상승합니다. 다만, 금은 조금 다릅니다. 금은 다른 원자재로 대체하기 힘든, 자산과 화폐로서의 가치를 같이 가지고 있습니다. 주로, 실질금리가 낮을 때 금 가격은 상승합니다. 은은 금과 산업용 금속의 성격 중간쯤 됩니다.
농산물 : 농산물의 수요는 변동이 크지 않습니다. 다만, 기후변화, 홍수, 가뭄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해 공급량이 예측할 수 없게 변하기도 합니다.
축산물 : 축산물의 수요 또한 큰 변동성을 지니지는 않습니다만 아프리카돼지열병, 콜레라 등 가축 전염병에 공급량이 영향 받습니다.
위와 같이 서로 다른 영향들을 받는 다양한 자산들이 있기 때문에 여러 원자재를 분산 투자하는 ETF가 하나의 헷지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3. 원자재 ETF
이제야 본론으로 들어가는군요. 원자재 ETF 빠르게 알아보겠습니다.
1) DBC - Invesco DB comomdity Index tracking Fund

에너지 섹터 비중이 거의 50%로 높습니다. 펀드매니저의 개입이 적은 패시브 ETF입니다.
2) PDBC - Invesco Optimum Yield Diversified Commodity Strategy No K-1 ETF
DBC와 같은 회사의 ETF입니다. 다만 차이점은 액티브 ETF라는 점, 운용 보수가 저렴하다는 점입니다.
3) GSG - iShares S&P GSCI Commodity Indexed Trust

GSG는 24개의 원자재의 최근 5년간 평균 생산량을 바탕으로 투자 비중을 결정합니다. 이것도 에너지 비중이 높습니다. 패시브 ETF입니다.
4) BCI - Aberdeen Standard Bloomberg All Commodity Strategy K-1 Free ETF

BCI는 상대적으로 농산물 비중이 높습니다. 섹터당 33%의 비중 제한이 있습니다. 액티브 ETF입니다.
정리해보겠습니다.
자산운용사 | 운용 자산 | 평균 거래 대금 | 연간 보수 | 특징 | |
DBC | Invesco | 2.2조 | 511억 | 0.88% | 패시브 |
PDBC | Invesco | 4.6조 | 650억 | 0.59% | 액티브 |
GSG | Blackrock | 1.3조 | 204억 | 0.85% | 패시브, 에너지 비중 최고 |
BCI | Aberdeen | 0.5조 | 35억 | 0.25% | 액티브, 농산물 비중 높음 |
연간 보수는 BCI가 가장 싸고 거래 대금이 가장 큰 곳은 PDBC이군요. 액티브는 패시브에 비해 시장 지수를 이길 수 있습니다. 다만, 떨어질 땐 위험도가 높죠. 본인의 스타일에 맞게 고르시면 되겠습니다.
모두들 인플레이션에 대비하여 자산가치 방어에 성공해 봅시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4. 정리
1. 레이달리오의 올웨더 포트폴리오에 의하면 원자재는 탁월한 인플레 방어자산
2. 원자재에는 에너지, 금속, 농산물, 축산물이 있음
3. 원자재 ETF : DBC, PDBC, BCI, GSG
출처
1. www.etf.com
'경제적 자유 >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뱅크 주가 및 기업 분석 : 금융사들 대비 고PER 타령은 엄살일까? (0) | 2021.08.23 |
---|---|
피라맥스 임상결과 분석 : 신풍제약의 주가 (0) | 2021.08.21 |
카카오뱅크 공모주 청약 첫날 분석 및 청약 전략 (0) | 2021.07.27 |
국제약품 주가 분석 : 국내 중소 제약/바이오주 발굴하기 (0) | 2021.07.20 |
삼성바이오로직스, 모더나 코로나 백신 국내위탁생산 계약 체결!(근데... 계약 내용이??) (0) | 2021.05.24 |